데이터 통신의 시초) 모스부호 등의 전신
데이터 통신 설치비용
- 매우 중요한 문제. 통신 선로 설치 비용(토목 공사)가 가장 비싸고 장비값은 저렴함.
- 새 기술이 발명됐을때 선로를 새로 설치할만큼 가치가 있나 고려해야함.
- ex) 1970년 선이 있으면 화상전화가 가능했음. 하지만 화상전화때문에 전국에 선을 설치하는건 무리였고 결국 상용화에 실패함.
컴퓨터 통신의 발전
- 컴퓨터가 귀해서 건물을 만들고 컴퓨터 여러대를 설치해둠. 이를 전산소라고 하며 관리인은 OP라고 함.
- 개인 컴퓨터를 사용하려면 전산소에 연결해야했음. 새로 선로를 깔아야할까? -> 비싸니까 전화망을 재활용하자!
- ≪개인 전화와 컴퓨터 - 모뎀 - 전화망 -모뎀 - 통신회사≫ 형식으로 전화망을 활용하여 인터넷 연결. (전화와 통신을 동시에 하지는 못함)
- 90년대 초반에 서버에 동시접속해서 PC통신(채팅)하는게 유행.
- 1994년에 월드와이드웹(WWW)이 국제 표준화가 되면서 PC서버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려고 시도함.(중간 다리 역할)
- 비용문제, 느린 속도 ->DSL 개발
더보기
모뎀
- 모듈레이터: 디지털신호→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 디모듈레이터: 아날로그 신호→디지털 신호로 변환
ASDL 모뎀
- 선로를 새로 설치하지 않고 전화망을 활용.
- 일반 모뎀은 수백키로 떨어져있어도 작동했으나 ASDL은 300m 이하 거리, 10Mbps 이상이어야함. → 거리를 줄이고 속도를 높인 것.
- KT에서는 메가패스라는 이름으로 홍보를 했음.
유선의 발전
- 전신, 전보 (Message)
------------------------- 벨의 전화기 발명 - 음성 전화 (Voice) - 선로 연결 비용이 비싸 부의 상징이었으며 전화국과 휴대폰 주인(?)이 비용을 반씩 부담하였음.
나중에는 선로가 어느정도 깔려있어서 점점 비용이 저렴해졌음.
------------------------- 세계 제 2차대전, 탄도 추적을 위해 최초의 컴퓨터 '애니악' 개발 - 데이터 네트워크 (Voice, Data) - 컴퓨터 간의 연결(네트워크) 필요성 대두 → 기존에 있던 선로에 컴퓨터 연결함.
통신망과 데이터망이 따로 관리됨. - ISDN (Voice, Video, Data) - 통신사가 통신망과 데이터망을 통합하고 싶어함. → ATM(하부네트워크) 설계
광통신 위에 ATM을 놓고 그 위에 음성, 비디오 등을 서비스함.
이 역시 기존 선로에 추가한 것. - B-ISDN (Voice, Video, Data) - 음성은 빠르게 전달되어야하므로 패킷이 짧아야함. 데이터는 패킷이 길어야함. 결 국 음성 전송에 유리한 패킷 길이와 데이터 전송에 유리한 패킷 길이의 중간으로 이도저도 아닌 ATM을 만듦.
ISDN 전화기를 쓰면 메세지 전송이 가능했는데, 당시 중식당에서 전화로 주문을 받으면서 메뉴를 잘못 만드는 일이 종종 있어 메세지로 주문을 받고 싶어함. 하 지만 ISDN 전화기끼리만 메세지 주고받기가 가능하여 상용화가 어려웠음.
영상통화는 패킷이 짧아 전송량이 적어 실용적이지 않았음.
94년에 WWW가 표준화되면서 전화망을 사용하는 ISDN보다 라우터를 쓰는 인터 넷이 인기가 더 많아졌고 ISDN이 점차 사라졌음. 이에 따라 통신사에서는 ISDN의 video 기능을 앞세웠고 이때 만들어진것이 B-ISDN(Broadnadb ISDN)임. 하지만 인 터넷에 밀려 축소됨.
무선의 발전
- 아날로그 (Voice) : 인프라 구축 비용, 가입비가 비싸서 벽돌폰은 부의 상징이었음.
- 디지털 (Voice)
- GSM (Voice) : 유럽의 기술.
- CDMA (Voice, Data) : 미국의 망한 회사의 기술을 우리나라에서 대규모로 도입함. GSM을 가져다가 썼으면 우 리나라 점유율이 낮았을 것.
- CDMA2000, HSDPA... (Voice, Video, Data)
국제전화의 발전
- 기존의 국제전화는 비용이 매우 비쌌음.
- 새롬이라는 회사에서 전화번호-IP 매핑으로 저렴하게 국제전화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듦.
- 전화번호-IP 매핑쪽으로 전화걸기(로컬) → 전화번호를 IP로 매핑해서 해외 IP로 보내기(인터넷) → IP를 전화번호로 매핑해서 전화걸기(로컬)
- 당시 국제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던 KT가 좋지 않은 회선을 주었고 (망 소유권 가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면서 연결이 잘 안 되고 음질이 저하됨. 결국 KT와의 경쟁에서 패배하였으며 LG가 이 기술을 가져다가 씀.
'나도 공부한다 > 데이터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Multiplexing (0) | 2021.04.16 |
---|---|
05. 데이터 통신 (0) | 2021.04.16 |
04. 디지털 전송 (0) | 2021.04.16 |
03. 물리적 계층 (0) | 2021.03.30 |
02.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 (0) | 202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