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도 공부한다/소프트웨어공학(이론)6

06. 요구사항 분석과 모델링 ppt 27~32 읽기 요구사항 분석 단계 : 프로젝트 목표를 설정하고 이해 관계자를 파악하며 초기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일정과 예산을 산정하고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는 단계 SW 개발의 목적은 고객 만족이고, 고객 만족을 위해 적시성(빠른 출시), 유연성(다양한 환경에서 가능), 통합(기존 시스템과 쉽게 통합)을 만족해야한다. 또한, 고품질의 제품을 정해진 기간 내에 주어진 예산으로 개발해야한다. 요구사항 시스템이 제공해야하는 기능(ex) 덧셈)이나 시스템이 만족해야할 조건(ex) 오차 범위가 ~이내여야함) 요구사항 분석은 시스템의 목표를 확립하는 과정.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확인하는 과정임. 즉, 고객에게 무엇을 제공할 것인가를 정확히 기술하는 것이다. 요구사항을 발견(뽑아내기), 정제(골라내기).. 2021. 10. 28.
04.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일정한 기간을 정해놓고 수행하는 작업 결과물이 있어야한다 일정기간동안 수행되어야한다 목적이 있다 진행과정에서 범위가 구체화된다 계획된 시간 내에 계획된 예산 범위 내에서 계ㅗ힉했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얻었으면 프로젝트를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의 분할 제품개발 프로세스: 개발을 위한 활동으로, 분석-설계-구현-시험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시간, 원가, 품질, 자원 등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보호 프로세스. umbrella process. 범위 관리-일정 관리-품질 관리 프로젝트 관리란? 소프트웨어를 조직(organizing)하고 계획(planning)하고 일정관리(scheduling, 피드백)하.. 2021. 10. 27.
05. 프로젝트 계획 소프트웨어공학에서의 계획 K)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는 방법, 개발 비용 산정, 기능 점수 방법, 프로젝트 일정, 위험 분석 방법 프로젝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 일정 계획, 구성원 등 프로젝트의 모든 활동을 구체화한 청사진이다. 프로젝트 실행의 지침(guide)과 같다. 계획 이전 발주자(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하는 사람): 제안요청서(RFP)를 작성하여 개발 업체에 제시한다. 이를 입찰 공고라고 한다. 후보 개발업체: 제안요청서를 기초로 개발 계획이 담긴 제안서를 제출한다 발주자: 개발 회사를 선정하고 발주자-개발회사의 계약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국제적 대형 프로젝트는 IEEE 국제 표준 규격에 따라 일을 진행한다. 계획 단계 계약 체결: 프로젝트 헌장이 공식 승인이다.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시작.. 2021. 10. 18.
03.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프로세스 프로세스란? ) 일이 처리되는 과정이나 공정. 즉, 주어진 일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 순서가 정해져 수행되는 일련의 절차. 프로세스를 따르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의 목적 ) 이전에 얻은 노하우를 전달하면 시행착오가 감소하며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일종의 가이드 역할인 것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프로세스) 직업(개발할때 일을 수행하는 작은 단위) 순서의 집합+제약 조건(일정, 예산, 자원)을 포함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좁게는 SW 제품을 개발할 때 필요한 절차이자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구현하기 위한 활동을 말하고, 넓게는 절차, 구조, 방법, 도구, 참여자 등 개발 목적을 이루는데 필요한 통합적인 수단을 뜻한다. 소프트웨어 공학이 다루는 일반적인 주제 방법) .. 2021. 9. 28.
02.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오해와 실체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소한 정보들 절반 정도의 개발 비용이 프로그래밍(구현) 이전단계에 소요된다. - 요구사항 분석과 설계가 제대로 되는 경우(품질), 프로그래밍은 단순히 기계적인 일이다. 프로그래머의 생산성이 그렇게 좋지는 않다. - 평균 하루에 10줄의 코드를 작성한다. 특히 통신이나 운영체제 소프트웨어는 다른 소프트웨어보다 4배 이상의 비용이 소요된다. 왜 이런걸까? 품질보증 때문이다. 품질과 생산성의 관계를 생각해보자.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나 시스템의 부속이라는 인식이 강하며, 소프트웨어에 들어가는 비용은 제품 가격에 미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ex) 휴대폰에 있는 기본앱에 따른 비용은 없음) 높은 품질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제도와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제품이 완성되고나서 발견되는 오류는 평.. 2021. 9. 27.
01. 시스템 공학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vs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는 금융, 노트북, 스마트폰, 의료, 항공기 등을 서비스하는데에 쓰인다. 그렇다면 프로그램과 소프트웨어의 차이는 무엇일까?? 프로그램은 원시코드만으로 이루어져있다. 반면에 소프트웨어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원시코드뿐만 아니라 단계마다 생산되는 문서, 사용자 메뉴얼, 각종 산출물(자료구조, DB구조, 테스트 결과 등)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의 특징 소프트웨어는 제조가 아닌 개발이다 제조는 정해진 틀에 맞춰 일정하게 생산하는 것으로,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결과물 차이가 거의 없다. 소프트웨어는 소모되는 것이 아니라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다 하드웨어는 오래 사용하면 부품이 닳고 기능이 떨어지는 등 소모품에 해당하는데, 소프트웨어는 닳지 않고 기능도 동일하다. .. 2021.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