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읽는 사람이 리눅스를 어느정도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쓰였다. cd, ls와 같은 기본 명령어를 모른다면 조금 공부하고 보는게 좋을 것이다. 또한, window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쓰였기 때문에 mac과 명령어 차이가 조금씩 있을 수 있다.
나도 애플 컴퓨터 쓰고 싶어...
먼저 git을 초기화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배워보자.
일단 ls 명령어를 이용하여 디렉토리 목록을 본다. 흠... git 연습에 이용할 적당한 디렉토리가 없다.

mkdir 명령어를 사용하여 gitProject 디렉토리를 만들어주자. 이 디렉토리로 git 명령어 사용 연습을 할 것이다.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이다.
mkdir [옵션] 만들고 싶은 디렉토리 이름
ex) mkdir gitProject

gitProject에 git이라는 하위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어줬다.
git으로 들어가서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이 있나 확인해봤는데 없다.
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여 초기화해주고 다시 확인해보면 git이라는 레파지토리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git앞의 .는 git이 숨겨진 파일임을 뜻한다. ls -al 명령어가 아닌 그냥 ls로 확인해보면 git 레파지토리가 보이지 않는다.

이제 start 명령어를 사용하여 내가 만든 디렉토리를 열어보자. (start .git)
gitProject 안에 git 하위 디렉토리가 있고 그 안에 git 레파지토리가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파일들은 git의 내부 구현사항이다. git에 대한 모든 정보들이 이 곳에 저장된다.

여기까지 따라온 사람들은 git init 이후에 (master) 이라는 글자가 생긴걸 발견했을 것이다. master branch가 생긴 것으로, commit해서 버전을 관리하는 가장 기본적인 branch이다.
생성하는 방법을 배웠으니 이제 삭제해보자.
rm -rf 명령어를 사용하면 삭제가 된다. (rm -rf .git)
다시 생성하고 싶으면 git init 을 사용하면 된다.

git의 긴 명령어를 다 타이핑하기 귀찮다고 느껴지는 사람들은 git 명령어 단축키를 사용해봐도 좋다.
만약 init이라는 명령어를 짧게 줄이고 싶으면
git config --global alias.in init 을 쳐주면 된다.
난 어떻게 줄였는지 까먹을까봐 안 쓴다.
이 외에도 다른 명령어를 구경(?)하고 싶으면 https://git-scm.com/docs 에 접속해보자. 명령어를 클릭해보면 사용 가능한 모든 옵션들도 볼 수 있다. 이걸 다 어떻게 외우라는거야??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쓰이는 것만 쓰이기 때문에 자주쓰이는 명령어만 외우면 된다. 연습을 많이 해보면 자연스럽게 외워질 것이다.
'나도 공부한다 > git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reset을 이용해서 과거로 돌아가기 (수정중) (0) | 2021.07.12 |
---|---|
github에 파일 올리고 다운받기 (0) | 2021.07.09 |
유용한 git 명령어 (0) | 2021.07.01 |
git workflow 이해하기 (commit 하는 법) (0) | 2021.06.29 |
git을 사용하기 전에 해야하는 설정 (0) | 2021.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