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운영체제의 구조와 설계
3-1. 운영체제의 구조 컴퓨터 시스템은 user, system and application programs, OS, hardware로 이루어져있음. 크게 User mode로 사용되는 User 메모리 공간과 Kernel mode로 사용되는 Kernel 메모리 공간으로 나뉨. User area에는 user, user application(OS를 제외한 모든 것. ex) cloud, 컴파일러)과 system program인 user interfaces(GUI, batch, command line)가 있음. user interfaces가 잘 와닿지 않는다면, 윈도우 하단바를 생각하면 됨. Kenel area에는 system call, services가 있음. 이때 user interface, system ca..
2021. 3. 29.
02. 컴퓨터 시스템
2-1.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시스템과 프로그램들은 무조건 OS를 통해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음.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 O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유저로 구성되어있음. 예전에는 단일버스를 사용했지만,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점점 CPU, Memory, I/O의 속도차이가 발생하면서 병목 현상이 나타남.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계층적 이중 버스 구조가 사용됨. -단일버스란?) 메모리에 CPU, disk, USB controller(입출력 장치), graphics adapter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여 정해 진 약속대로 동작을 함. 즉, 한 종류의 시스템 버스에 모듈들이 연결됨. ex) 세번 신호를 보내면 graphics adapter가 동작. 다른 장치들은 10초동안 동작 멈춤. -계층적 이중..
2021. 3. 18.
02.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
1.1 데이터 통신이란? 데이터 통신의 의미와 특징 두개의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데이터는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로 나뉨. 전달성, 정확성, 적시성을 따름. Protocol(무선랜, 이더넷 등), Sender, Message, Medium(무선, 유선, 광섬유, 레이저, 동축 케이블 등 sender와 receiver 사이에 메세지가 흘러가게 되는 물리적 경로), Receiver로 구성되어있음. Sender와 Receiver은 반드시 같은 Protocol을 사용해야함. 데이터 흐름의 방향 simplex: 데이터를 한쪽 방향으로만 보낼 수 있는 것. ex) mainframe --- data ----> monitor half-duplex: 서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지만 동시에 보내는건 불가..
2021.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