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50 02. 컴퓨터의 기원 컴퓨터란? : compute+er 즉, 계산하는 기계라는 뜻. 컴퓨터가 없던 시절에는 사람들을 모아놓고 계산을 시켰음. 1941년) Colossus. 2차 세계대전때 영국군이 독일의 암호문을 해독하기 위해 만듦. 전시 기밀이었기 때문에 늦게 공개되었고 이에 따라 ENIAC이 최초의 컴퓨터라는 오해가 생겼음. 사람이 직접 숫자를 이진수로 바꾸고 opcode도 눌러줘야했음.(현재는 컴파일러가 기계어로 바꿔줌) 즉, 사람이 operator였음. 1942년) ABC. 진공관을 이용해 간단한 이진법, Boolean 논리 연산을 함. 컴퓨터보다는 계산기에 가깝다는 견해가 있음. 1946년) ENIAC. 2차 세계대전때 미사일 탄도 분석을 계산하기 위해 만듦. 매우 무겁고 부피가 컸으나 500 Flop/s 밖에 되지.. 2021. 3. 11. 01. 디지털 시스템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 시간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함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물리적인 양) ex) 온도, 습도, 소리, 빛 분명히 구별되는 두개의 신호를 가짐 (0과 1) 디지털 시스템의 장점 잡음에 강함. 0과 1의 영역이 명확히 구분되므로 잡음 때문에 0에서 범위가 약간 벗어났다고 해서 그게 1로 인식되지는 않음. 따라서 설계하기 쉬움. 프로그래밍으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음. 0과 1로 명확히 구분된다는 특징이 있어 정보 저장 및 가공이 쉬움. 정보 처리의 정확성과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음. 시스템 구성을 소형화, 저가격화 할 수 있음. 아날로그를 어떻게 디지털화 하는가? 아날로그 신호 ->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Converter 사.. 2021. 3. 5. 01. 데이터 통신의 역사 데이터 통신의 시초) 모스부호 등의 전신 데이터 통신 설치비용 매우 중요한 문제. 통신 선로 설치 비용(토목 공사)가 가장 비싸고 장비값은 저렴함. 새 기술이 발명됐을때 선로를 새로 설치할만큼 가치가 있나 고려해야함. ex) 1970년 선이 있으면 화상전화가 가능했음. 하지만 화상전화때문에 전국에 선을 설치하는건 무리였고 결국 상용화에 실패함. 컴퓨터 통신의 발전 컴퓨터가 귀해서 건물을 만들고 컴퓨터 여러대를 설치해둠. 이를 전산소라고 하며 관리인은 OP라고 함. 개인 컴퓨터를 사용하려면 전산소에 연결해야했음. 새로 선로를 깔아야할까? -> 비싸니까 전화망을 재활용하자! ≪개인 전화와 컴퓨터 - 모뎀 - 전화망 -모뎀 - 통신회사≫ 형식으로 전화망을 활용하여 인터넷 연결. (전화와 통신을 동시에 하지는 .. 2021. 3. 4. 01. 운영체제의 종류와 기능 현재 많이 쓰이는 운영체제) ios, Linux, Window, Android 등 우리나라에서 만든 개방형 운영체제) 하모니카, Gooroom, TmaxOS 등 (window 독점을 막기 위해) 예전과 요즘의 운영체제 비교 전에는 임베디드 OS(작은 메모리, 느린 cpu가 피쳐폰, 자동차 등에 들어감. 현재는 디바이스가 좋아져서 리눅스 위에 다른 소프트웨어를 충분히 올릴 수 있음. OS가 리눅스로 동일하므로 개발이 쉬워짐. ex) 안드로이드용 넷플릭스 어플이 티비, 냉장고 등 안드로이드 체제가 있는 곳에서 모두 실행 가능 군용 비행기, 원자로 등에는 실시간성(속도, 반응)이 좋은 real time OS / 실시간 OS가 들어감. OS가 없으면? 모든 명령어를 내가 제어해야함. ex)printf("hell.. 2021. 3. 4. 01.프로그래밍 언어 개념 프로그래밍 언어란? 컴퓨터와 의사소통하기 위한 표현법. 현재는 개념이 확장되어 명령을 내리기 위한 방법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설계하고 명세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쓰임. ex) XML(문서 명세), Veriling(컴퓨터 하드웨어 설계) 1940년대 이후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개념이 생김. 40년대 이전에는 배전반에서 전선을 연결하여(배선) 컴퓨터에 명령을 내렸음. 이후에는 폰노이만(내장 컴퓨터) 방식으로 컴퓨터에 명령. 1) CPU가 처리할 작업을 명령 코드로 작성 2) 메모리에 저장 3) 읽기, 해석 4) 실행 사용되는 언어는 크게 기계어 / 저급언어 / 고급언어로 나눌 수 있음. 기계어는 저급언어는 '어셈블리어'라고도 불림. 어셈블리어는 LDA와 같은 symbol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기계 종속적이며 읽고 .. 2021. 3. 2. 티스토리 입문! 1월에 만들어둔 블로그를 이제서야 쓴다. 올해 목표 중 하나가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라서 새해에 만들었던 기억이 난다. 정신없이 사느라 까맣게 잊고 있었지만ㅎㅎ... 예술적 감각(?)이 많이 부족해서 sns를 꾸미거나 ppt를 보기좋게 만든다거나 뭐 그런걸 못한다. 그래서 스킨도 그냥.. 편해보이는거 골랐다. 자바스크립트, html 등을 이용해서 직접 스킨을 만들기도 하나보다. 이것저것 변형할 수 있는 기능이 많다. 왜 IT블로거들이 주로 티스토리를 쓰는지 알거같다. 컴공 학부생인데 이번 방학은 너무 게으르게 보내는 것 같아서 블로그라도 만들어서 배운 내용을 올려야 그나마 덜 게으르게 살것 같다. 나는 말주변도 없고 설명도 잘하지 못해서 정보 공유보다는 공부 기록용으로만 쓸 것 같다. 심심하니까 가끔 일.. 2020. 7. 24. 이전 1 ··· 22 23 24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