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도 공부한다/git 사용법7

git branch 만들기 회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프로젝트 코드를 과감하게 수정해보고 싶다. 그런데 마음대로 바꿨다가 큰일이 날 수도 있다. 이럴땐 어떻게 해야할까?? branch라는걸 만들어서 거기서 써주면 된다. branch는 똑같은 저장소를 하나 더 만들어주는거라고 생각하면 쉽다. 연습장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할듯 하다. git branch 만들고 싶은 branch 이름 으로 branch를 생성해주면 끝. branch를 만든 직후에는 이전의 branch와 동일한 파일이 들어가있다. 나는 my-B라는 이름으로 branch를 만들었다. git branch 명령어로 my-B가 성공적으로 만들어진걸 확인할 수 있다. my-B branch로 이동하여 작업을 하려면 git checkout이라는 명령어를 써야한다. git.. 2021. 7. 13.
git reset을 이용해서 과거로 돌아가기 (수정중) 오늘 설명할 명령어는 git reset과 git revert이다. 과거로 돌아갈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이다. git reset은 코딩을 하다가 무언가 잘못쳤으면 ctrl+Z 키를 누르는 것과 같은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순서대로 1번, 2번, 3번, 4번 commit이 있는데 2번을 commit했을 시점으로 돌아가고 싶다면 git reset을 쓰는 것이다. 대신 3번, 4번은 그냥 사라져버린다. git revert는 과거로 돌아가긴하는데 3번, 4번을 commit했다는 사실이 남아있다. 2021. 7. 12.
github에 파일 올리고 다운받기 이제 진짜 실전이다!! git을 내 github repository에 연동하여 파일을 올려보자. 먼저 git hub에 들어가서 repository를 만들어야한다. 창의 왼쪽을 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new를 눌러보자. 그러면 이런 창이 뜬다. repository name에 프로젝트 이름을 써주고 description에 간단한 설명을 써준다. Public으로 설정하면 모든 사람들이 내 소스를 볼 수 있고, private로 설정하면 나와 내가 초대한 사람들만 소스를 볼 수 있다. 소스를 오픈 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고 싶다면 public으로 설정해주자. (private로 했을 때 다른 사람을 초대하고 싶으면 해당 repository의 메뉴바의 맨 오른쪽에 있는 setting에 들어가 colabo.. 2021. 7. 9.
유용한 git 명령어 이번 글에서 알려줄 내용은.. 알아두면 쓸모있는 뭐 그런 것들이다. 첫번째로 알려줄건 gitignore 기능이다. 만약에 git에 올리고 싶지 않은, 혹은 올리지 말아야할 파일이 있을때는 어떻게 할까?? 예를 들어 log로 끝나는 모든 파일을 git에 안 올리고 싶어한다면.. log 파일을 제외한 모든 파일을 add로 하나하나 올리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이건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gitignore 파일을 이용하는게 좋다. log로 끝나는것들을 모두 gitignore에 넣어준다. 끝이다. start .gitignore을 쳐서 실행이 잘 되었나 확인하자. 특정 디렉토리 안의 모든 파일을 안 넣고 싶을때는 gitProject/ 이런식으로 쓰면 되고 디렉토리 안의 특정 종류의 파일을 안 넣고 싶을때는 g.. 2021. 7. 1.
git workflow 이해하기 (commit 하는 법) git에는 세가지 작업 환경이 나눠져있다. 첫번째는 working directory로, 프로젝트의 파일을 수정하고 작업하는 환경이다. 두번째는 staging area로, 버전 히스토리에 저장할 준비가 되어있는 파일을 옮겨두는 곳이다. 세번째는 .git directory로, 버전 히스토리를 가지고 있으며 git repository라고 불리기도 한다. 프로젝트 폴더에서 수정이 완료된 파일들은 add 명령어에 의해 staging area로 옮겨진 후 commit 명령어를 사용하여 git 버전 히스토리에 저장된다(.git director). 이렇게 .git directory에 저장된 버전들은 checkout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언제든지 원하는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working directory는 세부.. 2021. 6. 29.
git의 기본적인 명령어 이 글은 읽는 사람이 리눅스를 어느정도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쓰였다. cd, ls와 같은 기본 명령어를 모른다면 조금 공부하고 보는게 좋을 것이다. 또한, window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쓰였기 때문에 mac과 명령어 차이가 조금씩 있을 수 있다. 나도 애플 컴퓨터 쓰고 싶어... 먼저 git을 초기화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배워보자. 일단 ls 명령어를 이용하여 디렉토리 목록을 본다. 흠... git 연습에 이용할 적당한 디렉토리가 없다. mkdir 명령어를 사용하여 gitProject 디렉토리를 만들어주자. 이 디렉토리로 git 명령어 사용 연습을 할 것이다.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이다. mkdir [옵션] 만들고 싶은 디렉토리 이름 ex) mkdir .. 2021. 6. 27.